메뉴건너뛰기

만성기침

만성 기침은 8주 이상 지속되는 기침으로 급성감염이 주요 원인인 급성 혹은 아급성기침과 달리 상기도기침증후군, 기침형천식, 위식도역류질환, COPD, 대기오염, 흡연 등 장기간 기침을 유발할 수 있는 원인들을 고려하여 관련 검사를 진행해야 합니다.

흉부X선 소견이 정상인 환자에서 고려해야 할 감별 질환

주요원인
급성기침 (3주 미만) 급성 호흡기 감염
- 바이러스: respiratory syncytial virus, rhinovirus, influenza, parainfluenza, adenovirus, respiratory corona virus, metapneumovirus.
- 세균
독성 가스 흡인
이물질 흡인
아급성기침 (3~8주) 감염후기침 혹은 호흡기 감염
만성기침 (8주 이상) 천식, 기침형천식
호산구성기관지염
위식도역류질환, 인후두역류
상기도기침증후군
약물: 안지오텐신전환효소 억제제
기타: 폐종양, 심부전

상기도기침증후군

상기도기침증후군은 코, 인후 및 부비동을 포함한 상기도의 자극, 염증 등이 원인이 되어 기침을 주증상으로 하는 질환군입니다. 과거에는 후비루가 인후의 기침 반사 수용체를 자극하여 기침을 유발한다는 가설에서 후비루증후군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으나, 후비루가 없더라도 다른 기전에 의하여 기침이 발생할 수 있어 이 용어의 사용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상기도기침증후군은 아급성 혹은 만성기침의 흔한 원인으로 증상, 신체검진 소견, 방사선 검사 및 경험적 약물치료에 대한 반응을 종합하여 진단합니다. 상기도기침증후군은 알레르기 및 비알레르기성 비염, 비부비동염, 인후염 등의 다양한 원인질환이 단독 혹은 복합되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진단을 위해서는 원인이 될 수 있는 가능한 모든 질환들에 대한 고려가 필요합니다.

증상

기침을 주 증상으로 하며, 분비물이 넘어가는 느낌, 코막힘, 수양성이나 화농성의 콧물, 인두부의 가려움증, 인후부 이물감 등의 증상을 주로 호소합니다. 기침이 시작된 시기에 상기도감염의 병력이 있는 경우가 흔하고, 신체검진에서 인두 뒤쪽으로 점액성 분비물이 흘러 내리거나 끈적거리는 분비물이 인두 후면에 붙어있는 것을 관찰 할 수 있으며, 인두 점막의 조약돌 모양 (cobbled stone appearance) 변화도 보일 수 있습니다. 상기도기침증후군은 다양한 원인질환에 의한 임상증후군이므로, 원인질환을 시사하는 증상이나 소견에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알레르기성 비염은 코점막의 창백이나 부종, 비강내 분비물이 관찰되며, 비알레르기성 비염에서는 점막의 비후나 충혈을 보입니다. 코 및 눈의 가려움증, 재채기, 수양성 콧물 등은 알레르기성 비염의 가능성을 나타내며, 화농성 콧물, 후각저하, 안면통증, 두통 혹은 치통은 비부비동염을 시사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증상들은 비특이적으로, 다른 원인에 의한 기침에서도 관찰될 수 있습니다. 또한 앞에서 언급한 비부비동염을 시사하는 증상은 없으면서 오직 기침만을 증상으로 하는 비부비동염 환자도 있기 때문에 비부비동염의 진단을 배제하는데 주의하여야 합니다.

진단

일반적으로 상기도기침증후군에 대한 확진 검사는 없습니다. 경험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젖은 기침이 지속되면 비부비동염을 배제하기 위해 부비동에 대한 방사선 검사와 비강 내시경이 필요합니다. 부비동 방사선 검사에서 점막의 비후, 혼탁, 공기-수면상 소견 등이 관찰되면, 감염에 의한 비부비동염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하지만 비부비동염이 있다고 해서 기침이 반드시 상기도기침증후군에 의한 것이라 할 수는 없으며, 알레르기 비염의 병력이 의심되면 특이 항원에 대한 피부반응검사 등의 알레르기 검사를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상기도기침증후군은 코, 부비동, 인후두의 여러 원인질환들로 인한 임상증후군이므로 다양한 증상, 신체검진 소견과 검사결과를 보이지만, 이 소견들은 비특이적이어서 진단적 가치가 높지 않습니다. 따라서 환자의 증상, 신체검진 소견, 방사선 검사결과를 종합하여 가능성이 높은 원인질환을 감별하여 진단합니다.

치료

상기도기침증후군의 치료는 가장 가능성이 높은 원인질환을 찾고 이에 대한 일반적 치료를 시도하는 것입니다. 원인질환이 명확하지 않을 때는 우선 1세대 항히스타민제와 비충혈제거제를 경험적으로 투여합니다. 대부분 환자에서 1~2주 이내에 증상호전이 나타납니다. 알레르기성 비염의 가능성이 높으면 비강분무 스테로이드와 2세대 이상의 비진정성 경구항히스타민제를 사용합니다. 또한, 비강분무 항히스타민제 역시 효과적이며 비충혈제거제와 항류코트리엔제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비부비동염이 의심되면 1세대 항히스타민제와 비충혈제거제를 사용하고, 증상이 잘 조절되지 않으면 비강분무 스테로이드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세균성 비부비동염이 의심되면 항생제 사용을 고려합니다.

Top